Linux 6

이것이리눅스다 04-9

pro 열어서 이전에 설정해둔 스냅샷으로 설정 돌리기 anaconda를 file1,.. 로 복사한다. 압축 명령어 xz bizip2 gzip 으로 압축 셋중 성능이 가장좋은것은 xz 압축을 하면 기존파일은 없어진다. 압축풀기 zip window용과 호환되는 확장명 zip으로 압축 파일 묶기(압축기능 없음) * 리눅스에서는 파일 압축과 묶기가 원칙적으로 분리되어있음 묶기 풀기 tar묶고 압축하기 tar cvfj my2.tar.xz /etc/sysconfig/ tar cvfz my2.tar.gz /etc/sysconfig/ tar cvfj my2.tar.bz2 /etc/sysconfig/ etc폴더를 rm 해보고 압축을 풀어본다. file1 file2 file3 file4를 tar로 묶으면서 압축 xz가 압..

Linux 2021.03.24

[이것이 리눅스다] 05- CentOS설치 client설치 및 설정

player - client선택 - editvitual machine haddisk remove하고 nvmeOn으로 만들어준다. 시간및 날짜 서울로 변경 네트워크 켜줌 소프트웨어 선택 - 워크스테이션으로 변경 설치 목적지 - 저장소구성: 오토매틱 선택 dnf clean all 169번째에 vga=773 추가 root접속못하게 reboot해서 root접근 못하는지 확인 centos로만 로그인되는거 확인 해상도 변경을 다시해야하는데 root로만 가능하다. 터미널을 열어서 $는일반사용자 #은 root사용자 exit로 일반사용자로 전환 터미널닫고 설정 - 개인정보 - 화면잠금 두개다 끔 - 전원 - 빈화면 - 안함 -지역및 언어 - hangul 빼고 지움 컴퓨터 다시시작하고 설정 -배경 다른걸로 바꿔줌 현재활동..

Linux 2021.01.15

[이것이리눅스다] 03 - Server 설치 및 설정

https://cafe.naver.com/thisislinux/5796 링크 아무거나 하나 클릭하고 다운 첨부파일에있는 체크파일도 다운로드 md5열어서 sha256만 켜고 검증 ea17ef71e0df3f6bf1d4bf1fc25bec1a76d1f211c115d39618fe688be34503e8 파일 검증이 완료 됐으면 서버를 설치한다. edit vitual machine settings 클릭 화면 한번클릭한후 키보드 위쪽방향키눌러서 선택하고 엔터 커스텀 선택후 완료 LVM → 표준으로 변경 +눌러서 마운트지점, 용량 설정 (80기가중 4기가를 임시 메모리 공간으로 사용한다.) 마운트지점추가 선택 WINDOWS의 C 드라이브랑 개념이 비슷한 root파티션(/파티션) 슬래시파티션 선택, 용량은 빈공간으로 둔다..

Linux 2021.01.14

[이것이 리눅스다] 02 (ch01)

VMware의 특징 1대의컴퓨터 만으로 실무 환경과 거의 비슷한 네트워크 컴퓨터 환경의 구성이 가능하다. 운영체제의 특정 시점을 저장하는 스냅숏 기능을 사용 할수 있다. 스냅숏 지점을 선택해 놓으면 설치후 여러가지 작업을하다 문제발생 시점에 언제든지 스냅숏 지점으로 되돌리 수 있음 하드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를 내맘대로 여러 개 장착해서 테스트 할 수있다. 현재 컴퓨터 상태를 그대로 저장 해 놓고, 다음 사용할때 현재 상태를 이어서 구동 할 수 있다. (Suspend 기능) → 노트북을 사용하다 뚜껑을 덮었다가 다시열어서 사용한다고 생각 전산실의 환경을 컴퓨터 한대로 구현해 볼수 있기때문에 효율이 좋다. 실습 VMware Player의 닫기 버튼의 기능 VMware Player로 Server컴퓨터를 실행한다..

Linux 2021.01.13

[이것이 리눅스다.] 01 가상머신설치

이것이리눅스다 with CentOs로 리눅스를 공부하려고 한다. 책에서는 4개의 가상머신을 구동하는 환경에서 실습을 한다고한다. 그전에 알아둘것 멀티부팅이랑은 다르다. 멀티부팅은 HDD나 SSD의 파티션을 분할한 후 한번에 하나의 운영체제만 가동할 수있는 환경이다. 가상머신은 파티션을 나누지 않고 동시에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가동한다. * 가상머신과 가상머신 소프트웨어의 개념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 (호스트 OS) 안에 가상의 컴퓨터를 만들고 그안에 또다른 운영체제(게스트OS) 를 설치할수있도록 제작된 소프트웨어이다. 알아둘것 앞으로 기존 PC에 설치된 Window를 호스트 운영체제(호스트 OS) 라 부르며 그 외 가상머신에 설치한 운영체제를 게스트 운영체지(게스트OS)라고 부를 것이다. 가상머신 소프..

Linux 2021.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