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강의 에서는 버전에 구애 받지 않는다.(기초라)
다운로드 클릭
노란색 윈도우 클릭
https://www.python.org/downloads/windows/
Python Releases for Windows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 2버전 3버전 호환이 안됨. 문법이 달라서
3.7.9버전 쓴다.
Download Windows x86-64 executable installer
설치
주의 ) Add Python 3.7 to PATH (환경변수자동설정부분) 체크!!!!
installNow클릭 ←경로변경 x
close
IDLE 클릭 실행
shell - 명령어 해석
>>> 프롬프트
→ 에러
- 에러의 종류
- NameError
-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0과1 로 처리. (2진수)
데이터의 종류 [ 자료형, 타입, type]
- 숫자
- 정수 int: 1
- 실수 : float 3.4
- 문자열 str : 'Hi' "Hi"문자 , 문자열 구분 XXXXX
하나로 통일해야함, 내부적으로는 '' 로 처리
-
- 자료형 확인
-
#num 변수선언 num = 5 print('num>>', num) print('자료형>>>' , type(num)) num = 2.5 print('num>>', num) print('자료형>>>' , type(num)) num = 'Hi' print('num>>', num) print('자료형>>>' , type(num))
-
- shell에서는 수정작업이 어려움 → script파일을 만들어
- ctrl + N
F5 → shell이 실행됨.
print(1+2) #소괄호 안에 있는걸 화면에 보여달라.
print(1+2)
5/3
print('Hi')
스크립트: 코딩 / shell: 결과
- 인터프리터
- 파이썬은 인터프리터 언어(대화형언어)
- 한줄씩 바로바로 처리함.(c,jav,c++은 전체 처리후 보여줌)
- 에러가 발생하기전까지만 보여줌
- 오후 : 에디터 (Atom 사용)
변수
# [주석] : 설명부분, 실행에서 제외
# 한 줄 주석
'''
시작
여러 줄 주석
끝
'''
"""
여러줄 주석
"""
#num 변수선언
num = 5
#num 변수선언
num = 5
print('num>>', num)
num = 2.5
print('num>>', num)
num = 'Hi'
print('num>>', num)
변수명명규칙
- 문자로시작
- 숫자로 시작하면 에러
- 공백 사용 X
- 기호는 _만 가능
- snake case :first_num
- camel case: firstNum
- 클래스는 첫문자를 대문자료 표기 ex )String......
- 파이썬은 linenumber에 붙여서써야함
연산자
# 연산자
# 문법
# 변수 = 값
num = 3
# [산술 연산자]
n1 = 5
n2 = 3
print('덧셈: ',n1 + n2)
print('뺄셈: ',n1 - n2)
print('곱셈: ',n1 * n2)
print('제곱: ',n1 ** n2) #5의 3제
print('몫: ',n1 / n2)
print('몫: ', n1 // n2)
#나머지 : 짝수/홀수, ~배
print('나머지: ',n1 % n2)
# [복합 대입 연산자]
# n1 = n1 + n2
n1 += n2
print('n1 >>', n1)
print('n2 >>', n2)
#[관계 연산자]
print('크니?',n1 > n2)
print('같니? :',n1 == n2)
print('다르니? :',n1 != n2)
[논리값] : True , False
논리값이 정수값으로 바뀔때 가 있다.
논리값 정수값(2진수)
True 1
False 0
정수값 논리값
0이외 True
0 False
# [논리 연산자]
print('and 연산자',n1 > 5 and n2 > 5)
print('or 연산자1 >>', n1 > 5 or n2 > 5)
print('not 연산자2 >>',not n1) #8을 논리값으로 바꿈! -> 0 이외의값 true
print('not 연산자3 >>',not 0)
결과
and 연산자 False
or 연산자1 >> True
not 연산자2 >> False
not 연산자3 >> True
# [조건 연산자]
'''
[문법]
if 조건식
True일때 if 조건식 else False 일때
'''
n2 = 100
print('n1이 크다' if n1 > n2 else 'n2가 크거나 같다.')
문제
# [문제1] n1과 n2를 비교하여 큰 값을 result에 저장한 후 출력하시오.
# n1 = 10
# n2 = 15
n1,n2 = 100, 15
# result = 조건연산자
# 대입연산자는 한 라인안에 하나여야 함!!!.
# if 예약어
result = n1 if n1> n2 else n2
print('result>>',result)
'''
[문제2] n1의 값이 양수 이면, '양수'라는 문자열을 value 변수에 저장
n1의 값이 0 또는 음수일 경우 value 변수에 '0또는 음수' 문자열을 저장하고
출력하시오
'''
value = '양수' if n1 >0 else '0 또는 음수'
print('value>>',value)
# 라인과 라인사이 1줄 또는 2줄만 넣는다!! 많이 넣는건 안좋음!!!
- 라인과 라인사이 1줄 또는 2줄만 넣는다!! 많이 넣는건 안좋음!!!
- 연산자
- 대입 연산자
- 산술 연산자
- 관계 연산자
- 논리 연산자
- 조건 연산자
- 복합 대입 연산자
Atom설치
아톰 삭제
win + e
shift + del 해줌
atom 다운로드
- download눌러줌(아톰은 editor)
add folder → python폴더 선택
클릭해서 폴더선택
더블클릭 XXXXX
아톰: 파일클릭 → 이탤릭체
더블클릭 - > 파일열림
화면 확대/ 축소 : ctrl + 휠
패키지 설치(실행을 위한)
file > settings > install
script : 실행
단축키
실행 ctrl + shift + b
세팅 ctrl + ,
파일 맨위 : crl + home
파일 맨마지막 : ctrl + end
파일 추가 : 폴더클릭 a
주석설정/해제: ctrl + / ← 토글키
위로 새라인 추가: ctrl + shift + enter
아래 라인의 새 라인 추가 : ctrl +enter
라인 복제 : ctrl + shift + d
라인 이동 : ctrl + 위/아래
라인삭제 : shift +del
부분실행 : 블록지정 후 실행
뷰간 이동 : alt + \
만약 콘솔 창 안뜨면 닫았다가 다시열면 됨
파일 맨 마지막으로 이동 ctrl + end
자동완성 때문에 다운그레이드진행
2-2 auto complete python
>> install
얘를 install을 누른다.
설치 후 dissmiss
확장자를 넣어줘야함
함수
- str →문자열로 바꿔주는 함수
- 이스케이프 코드 (문자) :c언어 문법 꺄~~~
- \n - 개행\\ - 문자열에 \ 쓰기\" - 문자열에 "쓰기
- \' - 문자열에 '쓰기
- \t - 수평탭
- \\ - 문자열에 \ 쓰기\" - 문자열에 "쓰기
- \' - 문자열에 '쓰기
블록지정후 쌍따옴표하면 가넝
' " " '
자동완성 패키지 조정
- autocomple python 삭제
- down-grade : 삭제 → 재설치 →덮어쓰기
C:\Users\strin\.atom>package
다시 인스톨
하고 드라이브에서 받은 오토 그거 덮어쓰기함
아톰 재시작 → 다운그레이드 확인가능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print('e 추출 >>', s[인덱스])
- 인덱스를 오른쪽에서 부터도 쓸수 있다. → - 붙임
- -1 부터 시작
슬라이싱
print('He 추출 >>', s[시작:끝])
시작 인덱스는 포함 끝인덱스 전까지
→ 실제 추출할 인덱스 + 1
끝값을 안넣으면 시작부터~ 끝까지
print('llo 추출>>', s[2:])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적페이지 링크를 받아 큐알코드이미지로 만들기 (0) | 2023.05.19 |
---|---|
파이썬으로 pdf 및 사진 텍스트 출력하기 & 엑셀로 출력& 특정문자 제거(정규식) (1) | 2022.12.21 |
파이썬 따라하기 - 웹스크래핑 (0) | 2021.04.08 |
파이썬으로 크롤링 해보기 (0) | 2021.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