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이것이리눅스다] 03 - Server 설치 및 설정

늉_늉 2021. 1. 14. 16:52

https://cafe.naver.com/thisislinux/5796

링크 아무거나 하나 클릭하고 다운

첨부파일에있는 체크파일도 다운로드

 

 

 

md5열어서

 

sha256만 켜고 검증

ea17ef71e0df3f6bf1d4bf1fc25bec1a76d1f211c115d39618fe688be34503e8

 

 

 

 

파일 검증이 완료 됐으면

서버를 설치한다.

 

 

edit vitual machine settings 클릭

 

 

 

 

 

 

 

화면 한번클릭한후 키보드 위쪽방향키눌러서 선택하고 엔터

 

 

 

 

 

 

 

커스텀 선택후 완료

 

 

 

 

 

 

 

LVM → 표준으로 변경

+눌러서 마운트지점, 용량 설정 (80기가중 4기가를 임시 메모리 공간으로 사용한다.)

마운트지점추가 선택

 

 

 

 

 

  • WINDOWS의 C 드라이브랑 개념이 비슷한 root파티션(/파티션)

    슬래시파티션 선택, 용량은 빈공간으로 둔다(80-swap한 나머지 용량 배정)

 

 

 

 

 

 

 

변경사항적용 클릭

 

모두 설정한 화면,

(변경사항 - 시간및 날짜, 설치소스, 소프트웨어선택,설치목적지,네트워크및 호스트)

 

 

 

 

설치 시작

 

 

 

 

 

설치 진행중화면

 

 

 

 

 

 

 

 

 

root -리눅스 관리자

 

 

 

password: password

완료 두번누른다.

 

 

 

 

 

 

반드시 한명의 일반 사용자를 만들어주어야한다. 입력후 완료x2 눌러야한다.

 

 

 

 

 

 

암호도 이름과같이 설정했다 (학습중이니 쉽게)

 

 

 

 

 

 

설치과 완료되면 재부팅

 

 

 

 

 

목록에 없습니다 클릭

 

 

 

 

 

 

 

 

 

 

 

 

 

 

 

 

건너뛰기

 

 

 

닫기(X)

 

 

 

 

 

centos 초기화면

 

 

 

 

 

화면해상도 조절 (젤 왼쪽 설정 클릭)

 

 

 

장치 클릭하면 디스플레이 나옴 해상도 아래와같이 변경

 

 

 

 

 

 

 

centsos 업데이트 끄기

현재활동 클릭 , 터미널 클릭

 

 

 

 

 

보기 -확대 x2

 

 

 

gsettings set org.gnome.software download-updates false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service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timer

 

 

 

 

 

 

 

 

 

 

다시 터미널을 연다.

 

cd /etc/yum.repos.d/ mkdir backup --백업목록폴더만들기

ls -- 파일목록만들기

 

 

 

 

 

보이는파일들을 backup폴더로 이동시킬것이다.

 

mv *.repo backup/

 

 

 

 

 

 

 

하나이상의 repo파일이 필요

 

gedit This.repo --메모장에서 이파일을 하나 만들어라

 

 

 

 

[BaseOS]name=CentOS-$releasever - Basebaseurl=http://vault.centos.org/8.0.1905/BaseOS/x86_64/os/gpgcheck=0

[AppStream]name=CentOS-$releasever - AppStreambaseurl=http://vault.centos.org/8.0.1905/AppStream/x86_64/os/gpgcheck=0

[extras]name=CentOS-$releasever - Extrasbaseurl=http://vault.centos.org/8.0.1905/extras/x86_64/os/gpgcheck=0

[centosplus]name=CentOS-$releasever - Plusbaseurl=http://vault.centos.org/8.0.1905/centosplus/x86_64/os/gpgcheck=0

[PowerTools]name=CentOS-$releasever - PowerToolsbaseurl=http://vault.centos.org/8.0.1905/PowerTools/x86_64/os/gpgcheck=0

 

 

 

저장 , 닫기

 

 

 

 

 

 

 

 

dnf clean all

 

 

 

 

 

 

exit 로 터미널 닫아준다.

서버 컴퓨터의 네트워크를 고정 ip로 설정한다.

 

 

 

 

 

 

[root@localhost ~]#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ls ifcfg-ens32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gedit ifcfg-ens32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네트워크장치 내렸다가 올리기

 

 

 

 

 

재부팅한다. (지금까지 설정한 정보가 완벽하게 적용됨)

 

명령어 reboot

 

재부팅이되면 목록에 없습니까 클릭후 (root/PASSWORD)

 

 

 

 

 

 

 

 

보안기능끄기(아래 명령어 입력후 열리는 메모장에서 SELINUX = disabled로 바꿔줌)

gedit /etc/sysconfig/selinux

 

 

 

 

 

 

 

 

한글설정

도구 - 지역및 언어

 

 

한글써보기 : 왼쪽 SHIFT +SPACE

 

 

 

 

 

 

해상도 변경

gedit /etc/grub.d/10_linux

 

메모장에서 169번째줄 vga=779추가

 

 

 

 

 

적용 명령어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해상도 변경이 적용됨을 확인 할수 있다.

 

 

 

 

 

 

 

방화벽기능 설치

dnf -y install firewall-config

 

 

 

 

닫고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나온다. -소프트웨어 클릭

 

 

 

 

 

왼쪽 상단 소프트웨어 클릭

 

 

 

 

 

자동업데이트 끄기

 

 

 

 

X 누르고 ESC 누르고 X표시로 닫기

 

해상도변경을 위해 재부팅

 

해상도바뀐거 확인하고 컴퓨터끄기 우측상단 종료버튼

 

 

 

 

 

 

 

메모리설정

자신의컴퓨터 메모리가 8기가 이상이면 그대로 둔다.

 

 

 

 

플레이어 열기 → 서버 →edit →아래와같이 설정

 

 

 

스냅숏 설정

vmware player에는 스냅숏 설정이 없으므로 닫고

 

 

 

 

 

 

주의 - 꼭 플레이어를 닫고 워크스테이션을 열어야한다.(충돌이 난다.)

 

 

 

 

 

 

 

 

 

 

 

 

 

워크스테이션닫고

 

플레이어오픈 (문제상황 임의로 발생시킨후 스냅숏을 활용)

 

root -PASSWORD

 

 

 

 

 

 

 

 

 

 

 

 

 

 

POWER OFF

 

 

 

 

 

워크스테이션

GOTO -YES

 

 

 

 

만약 스냅숏후 무슨 메세지가 뜨면 MOVE IT (맨 왼쪽) 해야함

 

 

 

부팅 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