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Part3 기본적인 웹게시물 관리 - 코드로배우는 스프링 웹프로젝트

늉_늉 2020. 10. 29. 10:46

CH07  스프링 MVC 프로젝트의 기본구성

 

 

 

 

웹프로젝트 3티어 (3- tier)

 

 

 

Presentation Tier(화면계층) -  화면에 보여주는 기술을 사용하는 영역. Servlet/JSP나 스프링 MVC 담당

 

Business Tier(비지니스 계층)  - 순수한 로직  , 고객의 요구사항 , 주로 xxxService와같은이름, 

 

Persistence Tier(영속계층/데이터계층) -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보관, 사용하는가에대한 설계,  

 

 

 

 

 

 

 

Spring MVC 영역은 별도의 Presentation Tier를 구성하게 되는데, 각 영역은 별도의설정을 가지는 단위로 볼 수 있다.

 

 

이전 예제에서는  root-context.xml , servlet-context.xml 등의 설정파일이  해당 영역의 설정을 담당하였다.

 

 

 

Spring Core영역은 POJO(Plain -Old _Java Object)의 영역. 스프링의 의존성 주입을 이용해서 객체간의 연관구조를 완성해서 사용한다.

 

 

 

 

Mybatis영역은 현실적으로는 mybatis-spring을 이용해서 구성하는 영역. SQL에대한 처리를 담당 하는구조

 

 

 

 

 

7.1 각 영역의 Naming Convention(명명규칙)

 

 

 

3 - tier로 구성하는이유  : 유지보수

 

각 영역은 설계당시부터 영역을 구분하고, 해당연결 부위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설계하는것이 일반적인 구성방법.

 

 

 

 

  • xxxController
  • xxxService
  • xxxDao
  • VO,DTO : VO와 DTO는 유사한의미. DTO는 주로 데이터 수집의 용도가 좀 더 강하다. ex) 웹화면에서 로그인 하는 정보를   DTO로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프로젝트를 위한 요구사항

 

대상은 다른용어로 도메인(domain)

 

 

 

게시판과 같은경우 다음과같은 요구사항을 정리 할 수 있다.

 

 

  • 고객은 새로운 게시물을 등록 할 수있어야한다.
  • 고객은 특정한 게시물을 조회 할 수있어야한다.
  • 고객은 작성한 게시물을 삭제할 수있어야한다.
  • 기타등등..(수정..)